2015년 3월 12일 목요일

ruby로 ssh 접속해서 원격으로 커맨드 실행시키기

서버에 명령어를 날릴때 보통 ssh를 이용하는데
ruby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자동화 할 수 있다.

https://github.com/sosedoff/net-ssh-session

위의 gem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ruby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net-ssh 의 경우 커맨드를 날릴때마다
세션 유지가 안되서 좀 불편하다.
예를 들어서 cd 로 디렉토리를 변경하고 ls를 해도 home 디렉토리의 파일이 리스팅 된다.

사용법은 readme가 워낙 잘 되어 있어서 간단하게만 설명하면
gem install net-ssh-session
위의 명령어로 gem을 설치하고
require 'net/ssh/session'

# Initialize a new connection
session = Net::SSH::Session.new(host, user, password)

# Connect to server
session.open

# Execute a remote command
result = session.run("ls")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2015년 3월 11일 수요일

vim 에서 html 작성할때 굉장히 편리한 플러그인 emmet-vim

그동안 vi에서 html 작성할때마다 너무 귀찮다는 생각을 했었다.
레일즈 개발할때는 haml을 사용해서 괜찮았는데...
그래서 오늘 검색을 해보다 알게된 플러그인이 있는데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편리했다.

이름은 emmet 이고 주소는 https://github.com/mattn/emmet-vim
나는 vundle을 사용해서 .vimrc 파일에

Plugin 'mattn/emmet-vim'

위에 처럼 한줄만 추가하면 설치가 된다.

간단히 말하면 css selector 문법처럼 쓰고 단축키로 ctrl + y + , 를 누르면 html 태그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서

div#page>div.logo+ul#navigation>li*5>a

위와 같이 입력하고 단축키를 누르면 아래 코드가 생성된다.

2015년 3월 8일 일요일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할때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에러 나는 경우

이번에도 회사 프록시 서버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1. 회사 인증서를 java keytool을 사용해서 import

자바가 C:\Program Files\Java\jdk1.7.0_75 여기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keytool은 bin 디렉토리에 있다.

$ keytool -import -alias proxy
   -file Example.cer
   -keystore C:\Program Files\Java\jdk1.7.0_75\jre\lib\security\cacerts

비밀번호를 새로 설정해준다.

2. 이클립스 설정파일에 추가

이클립스가 설치된 위치에 보면 eclipse.ini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을 열고

-Djavax.net.ssl.trustStore=C:\Program Files\Java\jdk1.7.0_75\jre\lib\security\cacerts
-Djava.net.ssl.trustStorePassword=changeit

위의 코드를 추가한다.
패스워드 부분은 위에서 새로 설정한 패스워드를 넣어준다.

이제 이클립스를 새로 시작하면 플러그인 설치가 잘 될것이다.

2015년 3월 5일 목요일

Vim as an IDE

Vim as an IDE(https://github.com/jez/vim-as-an-ide)

이 프로젝트는 2015년 2월 25일 카네기 멜론대에서 있었던 테크 토크를 통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한 학생이 과제를 하기 위해 vim을 사용했는데 아무래도 사용하기 쉬운 툴은 아니니 익히는데 몇가지 어려움들이 있었나 봅니다.
  1. vim 의 단축키를 이용해서 텍스트 편집하기
  2. 다양한 플러그인 설치해서 사용하기

사용 방법

샘플 vimrc 파일이 들어있는데 단계별로 수정하면서 vim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여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first commit 부터 시작해서 각 commit 정보를 확인해보라고 하네요. Table of Content를 보니 저도 vim을 사용하면서 하나 하나 익혔던 순서가 그대로 나오네요! 처음에 vimrc 파일을 만들고 일반적인 설정을 추가하고, 플러그인 매니저를 사용하고, 파일 탐색기를 추가하고...

정리

맨 처음 vim을 접하면 그대로는 사용하기 힘들고 이것저것 설정하는 게 좀 귀찮을 수도 있는데요. 이 프로젝트가 딱 그 부부을 가이드 해주는 것 같습니다. 일을 하다보면 터미널에 접속해서 vim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번 기회에 vim 사용법을 배워두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